본문 바로가기

입찰5

기초예비가격의 공식에 따른 예정가격분포 분석 전 글에서 기초예비가격이 어떠한 방식으로 산출되는지 알 수 있었다. 이번에는 그러한 방식으로 기초예비가격이 산출되었을때, 랜덤한 4개의 기초예비가격을 산술평균한 예정가격의 분포정도를 개략적으로 분석해보려고 한다. 1. 복습 전 글의 결론은 예정가격은 기초예비가격의 98.4% ~ 101.8%(국방부 기준)에서 결정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양 끝값은 모두 제일 작거나 제일 큰 순서대로 4개의 기초예비가격을 뽑는 경우여서 일어나기 매우 어려운 일이다. 쉽게 생각하면 1,2,3,4,5,6 도 로또 1등번호가 될 수 있지만 절대 그렇게 찍지 않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2. 예정가격분포를 계산해보기 먼저 각각 기초예비가격이 가질수 있는 범위 중 평균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15개 중 4개를 뽑아 산술평균하는 조합을 계.. 2022. 4. 28.
복수예비가격 생성 공식(국방전자조달) 복수예비가격은 우리의 최종 목표인 낙찰가를 산정하기 위해 가장 첫번째로 알아야 할 목표이다. 이번에는 국방전자조달에서의 복수예비가격 생성 공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복수예비가격 공식 표 간단하게 국방전자조달에서의 복수예비가격 생성은 국방전자조달에서 공개한 아래의 표를 따른다.(-2% ~ 2%) 구간 범위(%) 구간 범위(%) 1 98 9 100.400 ~ 100.667 2 98.267 ~ 98.533 10 100.667 ~ 100.933 3 98.533 ~ 98.800 11 100.933 ~ 101.200 4 98.800 ~ 99.067 12 101.200 ~ 101.467 5 99.067~ 99.333 13 101.467 ~ 101.733 6 99.333 ~ 99.600 14 101.733 ~ 10.. 2022. 4. 26.
조달청 입찰 시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려면 조달청(또는 국방전자조달) 입찰 할때는 누구나 낙찰의 꿈을 가지고 투찰 할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구조로 낙찰가가 결정되는지 모르고 투찰한다면 눈을 가리고 글씨를 쓰는 것과 다를바 없을것이다. 오늘은 그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1. 기초예비가격 입찰에 있어 몇가지 중요한 숫자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기초예비가격이다. 기초예비가격의 정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금액을 기준으로 계약담당공무원이 결정한 금액으로서 복수예비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가격 기초예비가격을 바탕으로 복수예비가격을 선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복수예비가격은 무엇일까? 2. 복수예비가격 복수예비가격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기초예비가격을 기준으로 ±2% 범위 내에서 산정한 15개의 가격 이렇게.. 2022. 4. 26.
정부 입찰의 업무 흐름과 낙찰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국가와 계약을 하고 싶어하면서도 정부 입찰의 업무 흐름이나 구조를 잘 모르고 무작정 투찰만 하고 있다. 낙찰가가 어떻게 산정되는지는 알고 있는가? 또, 낙찰을 보장한다는 업체는, 진짜 낙찰을 보장해줄 수 있을까? 1. 정부입찰의 업무흐름도 정부 입찰은 입찰의 형태로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기까지 많은 단계를 거친다. 중기계획, 편성의 과정은 나중에 시간이 허락하면 다뤄보기로 하고 본예산으로 편성되어 집행의 단계에서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해당 예산을 획득한(편성받은) 부서에서(이하 '사업부서' 라고 칭함) 재정부서(또는 회계 또는 총무부서, 이하 '재정부서' 라고 칭함)로 계약의뢰 공문서를 작성하여 발송한다. 여기에는 해당 사업부서에서 요구하는 사양서, 해당 사업부서에서 검토받은 계약특수.. 2022. 4. 26.
정부입찰(조달청, 국방전자조달) 플랫폼 사업과 정부입찰의 개념 요즘 정부입찰(조달청, 국방전자조달)을 활용한 플랫폼 사업이 유튜브에 많이 보이고 있다. 부업으로 50만원을 벌수 있다고 홍보하는데 과연 가능한 것인지 전직 회계공무원(재무관, 지출관, 출납공무원, 계약관)으로서 한번 살펴보려고 한다. 1. 정부입찰이란? 국가는 세금을 걷고 지출을 해서 나라의 살림을 꾸려나간다. 지출을 할때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의해 계약상대자를 정하게 되고, 이 법에서 정한 기본 원칙은 입찰을 통하여 국가에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자와 하게 되어있다. 이 입찰은 조달청, 국방전자조달 등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해 전자적으로 진행되며, 이 시스템을 만드는 사람이 백도어를 만들어뒀지 않는 이상 상당히 랜덤한 방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공정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2. .. 2022. 4. 25.